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열사병 알아보기 (정보, 발병원인, 치료방법)

by goldinfomessenger 2025. 4. 23.

햇빛
열사병 알아보기 (정보, 발병원인, 치료방법)

1. 열사병 정보

햇볕이 내려쬐는 여름날, 몸에서 경고음이 울릴 때가 있다. 숨이 차고, 머리가 어지럽고, 땀이 나지 않는다. 나도 한 번 겪고 나서야 그 이름을 정확히 알게 됐다. 열사병. 단순한 더위가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었다. 열사병은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된 상태를 말한다. 보통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발생하고, 그때부터는 땀도 나지 않는다. 몸이 열을 배출할 수 없게 되면 장기 기능이 서서히 멈춰간다. 그야말로 위급한 응급질환이다. 여름철에 야외에서 장시간 일하거나 운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겪는다. 특히 노약자, 어린이, 만성질환자는 위험이 더 크다.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나는 군 복무 중 한 동료가 훈련 중 쓰러졌던 장면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갑자기 말이 없어지더니 몸을 가누지 못하고, 얼굴은 벌겋게 달아올랐고 땀은 한 방울도 없었다. 열사병은 증상이 빠르게 진행된다. 두통, 어지러움, 구토, 근육 경련, 심하면 의식 저하까지. 그냥 더운 게 아니라, 몸이 서서히 멈추고 있다는 신호들이다. 땀이 안 난다는 게 특히 치명적이다. 우리 몸은 땀으로 열을 빼내는데, 그 기능이 멈췄다는 건 내부에 열이 갇혀 있다는 뜻이다. 이건 단순히 더위를 참으면 되는 일이 아니다. 참으면 참을수록 상황은 나빠진다. 그래서 초기에 감지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처음엔 좀 덥네, 어지럽네 하다가 어느 순간 중심을 잃게 된다. 내 경험상, 몸이 이상하다고 느껴졌을 때는 이미 늦은 단계일 수 있다.

열사병은 예방이 중요하다. 한 번 발생하면 병원 치료가 불가피하다. 이건 의지나 체력 문제가 아니다. 내 몸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은 상태인 것이다.

2. 열사병 발병원인

열사병은 뜨거운 날씨만 있다고 생기진 않는다. 문제는 열을 어떻게 배출하느냐에 달려 있다. 즉, 몸이 뜨거워지는 속도와 식는 속도 사이의 균형이 깨졌을 때, 열사병은 문을 두드린다. 보통 체온이 상승하면 땀을 흘리고, 피부혈관을 확장시켜 열을 밖으로 내보낸다. 그런데 이 기능이 과부하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열은 그대로 몸에 쌓인다.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땀이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열 배출이 더 어렵다. 땀은 나지만 식혀지지 않는 것이다. 무더운 날씨에 외부에서 일하거나 운동할 때, 열사병 위험이 급증한다. 특히 통풍이 안 되는 옷을 입고, 햇볕을 오래 받은 경우. 이런 조건에서는 체온이 순식간에 올라간다. 나도 여름 등산 중에 잠시 음료를 아끼다가 어지러움을 느낀 적 있다. 그땐 그게 물 부족이 아니라 열사병 초기였다는 걸 몰랐다. 수분 부족도 큰 원인이다.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과 전해질을 충분히 보충하지 않으면, 체내 기능은 점점 느려진다. 땀만 흘리고 물을 마시지 않으면, 결국 몸은 건조한 기계처럼 과열된다. 이온 음료나 물은 단순한 갈증 해소 이상의 역할을 한다. 체온 조절 능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 위험하다. 어린아이, 노인, 심혈관 질환자, 당뇨 환자, 비만 환자 등은 땀 배출 능력이 떨어지거나 순환이 느리기 때문에 쉽게 열사병에 노출된다. 실제로 통계상 열사병 사망자의 다수가 고령층이다. 고열이 있는 감염성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일부 약물 복용도 열사병 발생을 높이는 요인이다. 체온을 올리거나 땀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더 주의가 필요하다. 결국 열사병은 뜨거운 바깥 환경과 체내 기능 사이의 충돌에서 비롯된다. 이 충돌이 격해질수록, 몸은 조용히 붕괴를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3. 열사병 치료방법

열사병은 시간이 생명이다. 증상이 시작됐을 때, 빠르게 체온을 낮추는 게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치료의 핵심은 몸을 식히는 것이다. 그게 가장 빠르고, 가장 확실하다. 의식이 있는 상태라면, 가장 먼저 그늘이나 시원한 장소로 옮겨야 한다. 에어컨이 나오는 실내가 최선이다. 그다음 옷을 풀어주고, 물수건이나 얼음팩으로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를 집중적으로 냉찜질한다. 이곳은 큰 혈관이 지나가는 자리라서 체온이 빠르게 떨어진다. 물을 마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식이 불분명하거나 구토 증상이 있다면 억지로 먹이면 안 된다. 흡인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대신 의료진이 오기 전까지 차가운 수건이나 부채, 선풍기 등으로 지속적인 냉각을 유지해야 한다. 응급실에서는 체온이 38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찜질, 수액 공급, 필요시 산소 치료를 병행한다. 심할 경우는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열사병은 장기 손상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더위 먹은 증상이라 착각해서는 안 된다. 나도 군 시절, 동료가 열사병으로 쓰러졌을 때 겪은 일이 있다. 체온이 41도를 넘겼고,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얼음물로 전신을 적시고 부채로 계속 식혔다. 다행히 회복했지만, 그 상황을 경험한 뒤론 한여름 햇볕을 더 조심하게 됐다. 예방도 중요하다. 물은 충분히 마셔야 한다. 목마를 때만 마시지 말고, 조금씩 자주 마셔야 한다. 고온에서 무리한 운동은 피하고, 야외 작업 시엔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한다. 땀이 많이 날 땐 전해질이 포함된 이온 음료가 효과적이다.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와 함께 지내는 가정이라면 실내 온도 조절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환기가 안 되는 공간에서 무더위를 견디게 하지 말고, 선풍기와 에어컨을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덥지 않다는 말은 상대적인 것이다. 실제로는 이미 몸 안이 끓고 있을 수도 있다. 열사병은 방심 속에서 찾아온다. 치료는 빠르게, 반응은 냉정하게 해야 한다. 무더위 속, 나 자신과 주변을 살피는 감각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몸은 언제나 말없이 신호를 보낸다. 열사병은 그 신호를 무시할 때 벌어지는 결과일지 모른다.

 

이미지 출처: Pixabay (무료 이미지 제공 사이트)